내맘대로 세계사 198

체코 국적 찾은 밀란 쿤데라...작가에게 모국어란, 국적이란

으로 유명한 작가 밀란 쿤데라(90)가 체코 국적을 회복했다. 페트르 드룰라크 프랑스 주재 체코대사가 지난 3일 파리에 살고 있는 쿤데라의 자택을 찾아가 시민증을 전달했다. 드룰라크 대사는 체코 국영TV에 나와 “체코가 낳은 가장 위대한 작가의 상징적인 귀향”이라고 했다. 쿤데라는 1929년 체코 브르노에서 태어나 자랐으나 1975년 공산정권의 탄압을 피해 고국을 떠났다. 그 후 프랑스에서 줄곧 살아왔고 주요 작품들도 모두 파리에서 발표했다. 쿤데라의 고향인 체코(옛 체코슬로바키아)는 그의 작품들을 금지했고, 이 조치는 1989년 ‘벨벳혁명’으로 체코가 자유화된 뒤에야 풀렸다. 공산정권은 무너졌으나 쿤데라는 1981년 프랑스 국적을 취득한 이래 체코 국적으로 다시 돌아가지 않았다. 1967년 소설 을 발..

유튜브, 아프리카 뮤지션들에 날개를 달다

‘조보이(Joeboy)’라는 애칭으로 더 많이 불리는 조지프 아킨펜와는 요즘 잘 나가는 나이지리아 가수다. 목욕탕에서 노래하는 22살 조보이의 모습을 담은 동영상이 나이지리아는 물론이고 우간다, 짐바브웨 등에서 차트 순위에 오르더니 이제 세계적으로 유명해졌다. 소셜미디어 덕이다. 2017년 조보이는 영국 싱어송라이터 에드 시런의 ‘셰이프 오브 유’를 부른 영상을 유튜브에 올렸다. 나이지리아 유명 가수 Mr이지(Eazi)에게서 인스타그램 메시지가 날아왔다. Mr이지는 그 자신이 소셜미디어 스타다. 세계 최대 스트리밍서비스인 스웨덴의 스포티파이를 통해 매달 500만명이 미스터이지의 음악을 듣는다. 그는 조보이의 노래를 즐겁게 들었다면서 신인가수들을 뽑는 ‘엠파와 아프리카’ 프로모션에 초대했다. 소셜미디어 덕..

넷플릭스에 항의한 폴란드, 씁쓸한 뒷맛

폴란드와 넷플릭스 사이에 갈등이 벌어졌다. 발단은 홀로코스트를 다룬 다큐멘터리였다. ‘이웃의 악마(The Devil Next Door)’라는 다큐멘터리에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나치의 강제수용소에 대한 내용이 나오는데, 이것들이 ‘폴란드의 수용소’로 표시됐다는 것이었다. 한국에선 ‘공포의 이반’이라는 타이틀이 붙은 이 시리즈는 미국 클리블랜드에 살던 한 노인이 1986년 돌연 기소돼 이스라엘 법정에 끌려가는 것으로 시작한다. 평범한 이웃집 할아버지인 줄만 알았던 노인은 사실은 유대인들이 대량학살당한 트레블링카 수용소의 나치 부역자였다. 그곳에서 살아남은 이들은 법정에 나와 ‘수용소의 도살자’였던 노인의 과거 범죄를 증언한다. 엇갈리는 증언, 이리저리 꼬인 기억들, 복잡한 기록들이 교차하면서 70여년전의 진..

보드게임으로 되살아난 고대 앗시리아제국

이라크인들은 게임을 좋아한다. 저녁마다 커피숍에 모여 카드게임이나 보드게임을 즐기는 이들이 많다. 오래된 문화다. 젊은이들은 다르다. 어디서나 그렇듯, 바그다드에서도 젊은 층들은 온라인 게임을 훨씬 좋아한다. 게임중독이 늘면서 지난 4월 의회가 온라인게임 규제 결의안을 내놨을 정도다. 이런 결의가 통할 리가 없다. 젊은이들은 의회 ‘꼰대’들의 걱정에는 아랑곳하지 않았고, 이런 움직임은 오히려 게임의 인기만 더 끌어올렸을 뿐이다. 라나 하다드는 쿠르드계 고고학자다. 가족 모두 게임을 즐기는 분위기에서 자랐다. 하지만 어느 순간부터 ‘환상에 기반을 둔’ 온라인게임에 대한 관심이 시들해졌다. 그 대신 이라크의 풍부한 문화유산이 그의 흥미를 끌기 시작했다. 인류 문명의 발상지인 이라크는 전국이 유적이나 다름없다..

60여년 함께 해온 '아주 특별한 북클럽'

책 자체보다 더 소중한 북클럽. 23일(현지시간) 미국 abc방송이 캘리포니아주 롱비치의 어떤 독서 모임을 소개했다. 웹사이트에 실린 장문의 기사는 저런 문구로 시작한다. 어떤 목적을 가지고 모이기 시작했지만 나중에는 모임 자체가 만남의 목적이 돼버리는 일은 흔하다. 하지만 이런 북클럽은 흔치 않다. ‘동네 여성들’의 모임으로 시작해서, 자그마치 60년 넘게 함께 책을 읽어왔기 때문이다. 모임의 역사가 이렇게 흐르는 사이, 회원들은 이미 환갑을 훌쩍 넘어섰다. 맨 처음 모임을 만들자고 제안한 루이즈 와일드라는 여성은 지금 97세다. 1956년에 시작된 북클럽은 이제 매주 토요일마다 여러 세대가 함께 하는 책과 만남의 장소가 됐다. 모임의 이름은 에그헤즈(Egg Heads) 북클럽. 달걀의 머리라니, 좀 ..

중국 공산당의 무기, TF보이즈

TF보이즈는 2013년 8월 첫 싱글앨범 ‘꿈의 출발(夢想起航)’을 내면서 데뷔한 중국의 3인조 남성 아이돌 그룹이다. 왕쥔카이(20), 왕위안(18), 이양첸시(18) 세 명으로 구성돼 있다. 데뷔 첫 해에 TF보이즈는 ‘청춘수련수첩’이라는 노래로 중국을 넘어 아시아권 여러 나라에서 인기를 얻으며 ‘수퍼 아이돌’로 부상했다. 지난해 말 중국 언론들은 이 그룹의 브랜드 가치가 30억위안(약 5000억원)에 이른다고 보도했다. 중국 대중가요를 가리키는 ‘만도팝’ 시장에서 TF보이즈는 근래 단연 두각을 나타낸 그룹이다. 수입에서나, 주류 미디어에 노출되는 빈도에서나, 팬들에 대한 영향력 면에서나 이들의 인기는 압도적이다. 중국판 트위터 격인 소셜미디어 웨이보에서 세 명의 팔로어를 합하면 2억명이 넘는다. 충..

'GDP', 런던에 문을 연 '뱅크시의 가게'

이스라엘이 쌓은 높다란 분리장벽에 뚫린 구멍, 런던의 길모퉁이에 앉아 풀 한 포기를 심는 소녀. 거리예술가 뱅크시가 그린 벽화들이다. 세상의 불의와 부정의에 벽화로 저항하는 뱅크시의 작품들은 언제나 화제를 넘어 감동을 준다. 언제 그렸는지 모르게 남겨진 그의 그림 속에서 팔레스타인의 핍박받는 이들은 풍선을 들고, 꽃 한 송이를 들고 이스라엘의 억압에 맞선다. 영국이 브렉시트를 추진하자 도버 항구의 건물에는 유럽연합(EU) 깃발의 별을 지우는 인부의 모습이 등장했다. 예루살렘의 ‘꽃 던지는 남자’ 그림은 아트상품으로도 만들어졌다. 뱅크시의 예술활동은 벽화를 넘어 2015년 디즈니랜드를 비꼰 ‘디즈멀랜드’라는 아트프로젝트 같은 것으로도 확대됐고, 그가 세계 곳곳에 남긴 그림들은 포스터와 판화작품 등으로 다시..

'조커'가 문제일까 총기가 문제일까...영화가 되살린 미국의 악몽

토드 필립스 감독의 영화 ‘조커’가 지난 7일(현지시간) 제76회 베니스 국제영화제에서 대상인 황금사자상을 받았다. 미국 만화출판사 DC코믹스 작품을 바탕으로 한 이번 영화의 주인공은 배트맨이 아닌 ‘반(反)영웅’ 조커다. 영화는 절대악의 현신인 이 캐릭터의 내면을 파고들어간다. 주연 호아킨 피닉스는 실패한 개그맨이 악당으로 변하는 모습을 실감나게 그렸으며 잭 니콜슨과 히스 레저에 이어 새로운 조커를 탄생시켰다는 평을 받았다. 그런데 영화가 스크린에 오르기도 전에 표현의 자유와 ‘카피캣 킬러(모방범죄)’를 둘러싼 해묵은 논란이 불거졌다. 문제가 된 것은 2012년 7월 20일 미국 플로리다주 오로라에서 일어난 총기난사 사건이었다. 제임스 이건 홈스라는 남성이 영화관에 들어가 최루탄을 터뜨리며 총을 난사해..

[구정은의 세상]분리수거 대란? 세계의 쓰레기들은 어디로 갈까

중국이 한국산 재활용 폐기물 수입을 잠시 중단하면서 국내에서 ‘분리수거 대란’이 일어났습니다. 원자재나 상품 못잖게 세계를 이동해 다니는 것들 중 하나가 ‘쓰레기’입니다. 쓰레기들은 어디에서 나와서 어디로 향할까요. 태평양 한가운데의 ‘쓰레기섬’ 플라스틱, 비닐 따위의 쓰레기들이 넘쳐나는 대표적인 장소는 태평양입니다. 여성들뿐 아니라 요즘에는 남성들도 적잖게 애용하는 각질제거제의 스크럽 알갱이들, 미국인들이 대형마트에서 카트에 쌓아 담는 여섯 개 묶음 맥주 팩의 비닐 고리, 페트병 뚜껑, 폴리스티렌 포장, 샌드위치를 쌌던 랩 조각, 검은 비닐봉지, 엉켜서 못 쓰게 된 그물. 잘 썩지 않는 플라스틱이나 비닐 따위로 이뤄진 이런 쓰레기들이 강을 통해 바다로 흘러가 태평양에서 모입니다. 하와이에서 북동쪽으로 ..

'외로운 조지'와 거북 이야기.

‘외로운 조지 Lonesome George’. 2012년 마지막으로 숨진 갈라파고스의 핀타섬땅거북 Pinta Island Tortoise의 이름이다. 그 종 가운데 홀로 남아 오랜 세월을 버텨야 했기에 ‘외로운 조지’라는 별명이 생겼다. 조지는 1971년 갈라파고스 제도의 핀타 섬에서 발견됐고 이듬해 푸에르토 아요라 Puerto Ayora에 있는 찰스 다윈 연구소 Charles Darwin Research Station로 옮겨졌다. 이미 그 시절 이 종은 모두 사라진 것으로 여겨지고 있었다. 한 마리 살아남은 거북을 어떻게든 번식시키려고 과학자들이 노력을 기울였다. 2008년에는 실제로 조지와 ‘합방’을 한 거북 암컷 두 마리가 알을 낳았고, 희망이 솟아났다. 그러나 모두 ‘불임된’ 알이었다. 조지는 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