딸기가 보는 세상

세계 라디오의 날

딸기21 2012. 2. 14. 15:19
728x90
아시나요. 2월 13일은 ‘세계 라디오의 날’(THE WORLD RADIO DAY)이라는 것을.

유네스코는 13일 전 세계 라디오 방송 제작자들을 프랑스 파리 본부에 초청해 첫 번째 ‘세계 라디오의 날’ 기념행사를 열었습니다.
유네스코는 지난해 총회에서 교육, 표현의 자유, 공개 토론, 속보 전달 등의 매개체가 된 라디오를 기념하기 위해 매년 2월13일을 ‘세계 라디오의 날’로 지정했지요. 올해 행사에서는 라디오 방송 제작자들 간의 협력을 넓히고, 각국 정책 결정자들에게 ‘라디오를 통한 정보 접근권 보장’을 촉구하기 위한 취지로 열렸다고 합니다. 
유네스코의 이리나 보코바 사무총장은 “라디오는 가장 넓은 청중에게 도달하는 대중매체”라며 “특히 우리 사회의 가장 소외된 계층도 이용 가능한 매체”라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라디오는 가장 보편화된 대중 매체인 것은 사실이죠. 스마트폰과 태블릿PC가 인기를 끌고 있다지만, 여전히 제3세계, 특히 억압적인 정부가 군림하고 있는 국가에서는 라디오만한 매체가 없습니다. 국제전기통신연합(ITU)에 따르면 전 세계가정의 75%가 라디오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유네스코는 ‘세계 라디오의 날’을 맞아 웹사이트를 만들어 각국 언어로 된 오디오 메시지를 띄우는 한편 군소 라디오 방송 제작자들도 이날을 축하할 수 있도록 ‘공동체 라디오 매뉴얼(community radio manual)’도 공개했습니다.

그런데 왜 2월 13일이냐고요?
1946년 2월 13일 유엔의 라디오 방송이 창설됐기 때문에 이 날을 기념해서 정했답니다. 

그런데, 유네스코 기념일과 별도로, 자체적으로 ‘라디오의 날’을 기념하는 나라들도 있습니다.

대표적인 곳이 러시아입니다. 러시아의 ‘라디오의 날’은 5월 7일입니다. 1895년 러시아의 물리학자인 알렉산드르 포포프(Alexander Popov)가 세계 최초로! 라디오 전파(electromagnetic radio waves)를 실용화하기 위한 실험에 성공한 날이 5월 7일이거든요. 말하자면 라디오의 모태가 발명된 날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옛소련권에서는 포포프를 라디오 발명자로 모시지만, 서방에서는 세르비아계 미국 발명가 니콜라 테슬라(Nikola Tesla)를 라디오의 아버지로 친답니다. ㅎㅎ 위 사진의 왼쪽이 포포프, 오른쪽이 테슬라입니다.

암튼, 옛소련은 포포프의 라디오 송수신 실험 50주년인 1945년 ‘라디오의 날’을 만들어 공표했고, 소련 시절 이 날은 ‘통신노동자의 날’로 계속 기념됐습니다.

그런데 라디오의 날, 그리고 러시아에 대해 이야기하다보니, 눈에 띄는 기사가 있습니다.

러시아 대통령 선거가 3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여당 대선 후보인 블라디미르 푸틴 총리를 강하게 비판해온 대표적 야당 성향 라디오 방송사의 이사진이 전격 교체됐다. 
푸틴의 권위주의적 통치와 민주주의 후퇴 문제 등을 줄기차게 지적해온 현지 라디오 방송 ’에호-모스크비(모스크바의 메아리)‘의 보도국장 및 인기 진행자 알렉세이 베네딕토프는 14일(현지시간) 자신의 블로그에 올린 글에서 "방송사 대주주인 ’가스프롬-메디아‘가 방송사의 이사진 조기 사퇴와 독립이사 교체를 요구했다"고 밝혔다. 
러시아 국영가스회사 ’가스프롬‘의 자회사인 가스프롬-메디아는 에호-모스크비 방송사 주식 66%를 소유한 대주주다. 방송사 기자들은 성명을 통해 "(가스프롬-메디아의) 이번 결정을 이해할 수 없다"며 "6월로 예정된 정기 이사 교체가 성급히 이뤄지는 이유에 대한 해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이번 조치가 지난달 푸틴 총리가 방송사를 신랄하게 비난하고 난 뒤에 취해져 의혹을 더욱 증폭시키고 있다. 푸틴 총리는 지난달 중순 주요 언론사 고위 편집진 30여 명과 간담회를 하는 자리에서 에호 모스크비 방송이 아침부터 저녁까지 자신에게 똥물을 끼얹고 있다며 격하게 비난한 바 있다. 


연합뉴스 기사입니다(과연 연합뉴스가 러시아의 언론탄압을 비판할 자격이 있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ㅎㅎ)

라디오의 날을 백번 기념하면 뭐합니까. 
“자유롭고 독립적이며 다원적인 라디오는 건강한 사회의 필수 요건”이라는 유네스코 사무총장의 말을 인용할 수밖에 없겠네요. 

러시아 흉볼 것도 없습니다.

[사유와 성찰] 김미화씨를 떠나 보내며 


한국에서도 불과 1년 전에 이런 일이 있었지요...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