딸기가 보는 세상

환율 전쟁

딸기21 2004. 2. 4. 12:25
728x90
오는 6일과 7일 열리는 선진7개국(G7)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 연석회담에서는 미국,유럽,아시아권등 3개 축간의 `환율전쟁’이  벌어질 전망이다.
유로화의 강세로 국제경쟁력이 약화된 유럽국가들은 회담을  앞두고 미국을 상대로 강한 압박에 나서고 있다. 미국은 유럽과의 화해를 도모하면서도, 자국 경제를 살리기 위해서는 약달러 정책을 고수하겠다는 방침이다. 오히려  미국의 관심은 유로가 아닌 아시아권 화폐에 쏠려있다. 아시아권 통화,특히 위안화의 평가절상을 견인하겠다는 입장이다. 더욱이 미국이 약달러 정책을 관철시킬 경우 최대 피해자는 달러 보유고가 높은 아시아권이  될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유럽의 반격

미국 플로리다에서 열릴 예정인 이번  G7 회의에서는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등이 이번 G7 회담에서 미국측에  달러 약세를 해소하라는 압력을 강하게 넣을 것이라고 월스트리트 저널은 2일 보도했다.
달러 약세가 가시화된 것은 지난해 9월의 G7 회의부터. 지난해 아랍에미리트연합 두바이에서 열린 G7 재무회담에서 잭 스노 미국 재무장관이 약달러 기조를 용인할 것임을 시사하는 발언을 내놓으면서 달러 급락이 본격화됐었다. 미국의 조지 W 부시 행정부는 미국 경제의 회복을 위해 달러 약세를 용인하는 수 밖에 없다는 입장. 그러나 동시에 미국은 유로권 국가들이 더 이상 `강한 유로'를 버텨낼 힘이 없다는 점을 인식하고 있다. 따라서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의 금리 인상 시점을 기준으로 달러와 유로의 `화해'가 이뤄질 것으로 분석가들은 보고 있다.

`약달러'의 타겟은 중국

지금까지 중국과 일본, 한국은 달러 하락에 맞춰 계속 자국 화폐의 가치를 낮춰왔다. 그 결과 유럽만이 달러약세의 피해를 보는 형국이었다. 중국과 아시아국가들에 대한 미국의 `환율 압력'은 갈수록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미국은 아시아 통화, 특히 위앤화 고정환율제를 더 이상은 용인할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하고 있다. 스노 재무장관이 이끄는 경제팀은 달러에 연동돼 있는 중국과 일본, 한국을 겨냥해 `유연한 환율정책'의 필요성을 계속 강조해왔다. 미국의 압력에 따라 자국 화폐를 평가절상할 경우 아시아 국가들의 수출경쟁력은 크게 둔화될 수 밖에 없다.

최대 피해자는 아시아?

아시아권이 갖고 있는 딜레마는 이것 뿐만이 아니다. 지난 1991년 옛 소련 붕괴 당시 러시아 외환보유고의 90%가 미국 재무부 채권과 달러였다. 그러나 지난해 러시아의 외환보유액 중 달러 비중은 75%로 낮아졌으며, 유로화가 20% 이상으로 늘어났다. 유럽연합 가입을 원하는 동구권 국가들은 이미 오래전부터 유로를 사들이고 있다.
반면 아시아국가들은 달러 약세의 충격파에 전면 노출돼 있다. 지난달 국제통화기금(IMF)은 아시아가 전세계 외환보유고의 60%를 차지하고 있다는 통계를 발표했다. 아시아국가 외환보유고 대부분은 미국 국채로 운용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아시아 국가들의 외환 운용방식에 근본적인 변화가 없을 경우 외환보유고 급증은 오히려 엄청난 환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달러 약세로 인한 고유가 또한 아시아 경제에 주름을 지우는 요인이 되고 있다.

IMF는 미국 편?

사용자 삽입 이미지
호르스트 쾰러(사진)
국제통화기금(IMF) 총재가 달러약세-유로강세를 둘러싼 미국과 유럽의 힘겨루기에서 미국 편을 들고 나섰다.

쾰러 총재는 2일 유럽국들이 유로화 강세 현상에 대해 `과민'하게 반응할 필요가 없다면서 경제적 불균형을 막기 위해서는 `전지구적인 협조'가 필요하다고 말했다고 AFP통신이 보도했다.
쾰러 총재는 이날 체코 프라하에서 "미국 경제의 주도 하에 세계 경제의 회복 조짐이 광범위하게 나타나고 있다"면서 "유로화 강세가 유럽 경제회복에 장애가 될 것이라는 우려도 있지만 과도한 반응은 피해야 한다"고 말했다. 쾰러 총재는 "유로화의 현재 가치는 유로화 출범 직전인 지난 98년 말 수준으로 돌아간 것"이라며 "유로권 단일통화에 대한 신뢰도가 증대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일 뿐"이라고 말했다. 그는 "지금 상황에서 필요한 것은 주요 경제지역 중 어느 곳도 부당한 부담을 지지 않도록 전지구적인 협조전략을 만드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유럽국들은 지난해 중반부터 계속된 달러 약세와 이로 인한 유로의 상대적인 고평가로 인해 유럽경제의 회복이 늦어지고 있다고 주장해왔다. 이 때문에 유럽국들은 미국을 상대로 달러약세를 더이상 용인치 말라고 요구하고 있다. 쾰러 총재의 이날 발언은 달러약세가 지속돼야 한다는 미국의 입장에 손을 들어주는 것으로서, 논란을 불러올 것으로 보인다.
유럽국들은 이번주말 미국에서 열리는 선진7개국(G7) 재무장관.중앙은행장 연석 회담에서 환율 문제를 주요 이슈로 부각시킬 방침인데 쾰러 총재가 여기에 찬물을 끼얹은 셈이기 때문. 전세계 투자자들은 이번 G7 회의에서 환율 불안을 진정시킬 성명이 나오기를 기대하고 있으나, 미국은 달러약세를 시정하려는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있다.  


페트로달러 논란

"사우디아라비아는 석유를 팔 때 달러화 대신 금으로 받아라"

말레이시아의 마하티르 모하마드 전총리는 지난달 사우디 제다에서 열린 경제회의에서 이같은 주장을 내놨다. 마하티르 특유의 `돌출발언'이라 볼 수도 있겠지만, 석유결제통화를 둘러싼 미국과 산유국들의 물밑 싸움은 이미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석유결제화로 쓰이는 달러를 지칭하는 말로 `페트로(석유) 달러'(petro dollar)라는 용어가 있다. 페트로 달러는 각국의 달러 보유고와 함께, `기축통화'로서 달러의 영향력을 보장해주는 지렛대였다.
그런데 최근 달러약세가 지속되면서 산유국들 사이에 이상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석유수출에 재정을 의존하고 있는 산유국들이 달러가치 하락으로 인한 손실을 보전하기 위해 유가를 올리는 것을 비롯, 유로·금 결제를 도입하려는 움직임도 보이고 있는 것.
이런 조짐은 미국의 일방독주를 견제하려는 국제사회의 흐름과 맞물려 진행되고 있다. 이미 지난 2000년 이라크의 사담 후세인 정권은 석유결제통화를 유로화로 바꾸겠다고 선언했었다. 일부에서는 `달러체제'에 맞서려 했던 이라크의 이런 행보가 결국 전쟁을 불러왔다는 분석을 내놓기도 했다.

아직 사우디나 베네수엘라 같은 주요 산유국들에서 석유결제통화를 바꾸려는 가시적인 정책변화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달러약세가 지속될 경우 이들 국가들이 받게 되는 압력은 강해질 수밖에 없다. 석유전문지인 중동경제연구(MEES)는 최근 "산유국들이 당장 결제통화를 바꾸기는 힘들겠지만 달러 압력을 피하기 위해 유로결제를 일부 도입하면서 고유가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이라는 관측을 내놨다.
페트로달러를 둘러싼 미국과 산유국들의 줄다리기가 결국 한국이나 일본 같은 에너지 수입국에 부담으로 작용할 것임은 분명해 보인다.
728x90

'딸기가 보는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종 광우병 발견  (0) 2004.02.18
안상영 자살- 외국 정치인 사례  (0) 2004.02.04
제4차 세계사회포럼  (0) 2004.01.15
약한 달러가 고유가를 부른다  (0) 2004.01.08
2004년에는  (0) 2004.0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