딸기가 보는 세상/구정은의 '세계, 이곳'

[구정은의 '세계, 이곳'] 중국-인도-미국 삼각관계와 히말라야 전쟁 게임

딸기21 2023. 4. 8. 11:38
728x90

 

“국무원의 지명 관리에 관한 규정에 따라 외교부는 티베트 지역의 일부 지명을 표준화했다.”

 

지난 2일 ‘티베트 남부 지역의 공공 사용을 위한 지명 추가에 관한 민정부 발표’라는 중국 정부 공지문이 떴다. ‘민정부 공고 제548호’라는 번호가 붙은 공지문은 딱 한 줄, 그리고 11개 지명을 담은 표가 첨부돼 있다. 방친, 장커쭝, 거둬허 등등 중국식 한자 지명과 티베트식 이름, 중국식 발음을 로마자로 표기한 ‘병음’과 위도·경도가 적혀 있는데 2곳은 주거지이고 나머지는 산과 강 등이다. 그 아래 빨간 글자로 ‘중화인민공화국’이 쓰여 있는 티베트 지도에, QR코드까지 붙여놨다. 얼핏 보면 중국이 소수민족 지역에 중국식 이름을 붙이고 주민들에게 알리는 평범한 안내문 같지만 상황은 더 복잡하다. 인도가 자기네 땅이라고 주장하는 곳이 포함돼 있기 때문이다. 

 

4월 2일 중국 정부가 올린 공지문

 

중국, 인도와의 국경 분쟁지 명칭을 중국식으로 변경

 

문제의 지역은 인도 북부 히말라야 산악지대의 아루나찰프라데시 주다. 이곳 서쪽에는 부탄, 동쪽에는 미얀마가 있고 북쪽으로는 중국과 1130km를 맞대고 있다. 중국과의 경계선은 영국이 정해놓은 맥마흔 라인과 거의 일치한다. 면적이 8만4000에 이르고 인도 정부 통계론 140만명이 산다. 몬파족, 타니족, 미슈미족, 타이족, 나가족 등등 하위 범주까지 따지면 부족 숫자가 100을 넘긴다.

 

[중국 민정부 웹사이트] 民政部关于增补藏南地区公开使用地名 (第三批)的公告

 

기원전 500~600년 무렵 몬파 왕국이 번성했고 이후 아삼 지역에 기반을 둔 추티아 왕국이 지배했다. 비스마크나가르에 있는 8세기 추티아 왕국 유적, 14세기에 지어진 말리니탄의 힌두교 사원, 400년 전의 타왕 불교사원 등등이 인도의 땅임을 보여준다고 인도 측은 주장한다. 1962년 중-인도 전쟁 중에 중국이 잠시 점령했지만 인도가 탈환다. 

 

민정부 공지문에 첨부된 지도

 

하지만 중국은 이곳을 시짱(西藏)자치주의 일부인 짱난(藏南), 즉 남티베트로 부른다. 중국이 이번에 공개한 지도에는 아루나찰프라데시가 티베트 영토로 적혀 있고 중국과 인도의 국경이 브라마푸트라 강 바로 북쪽에 표시돼 있다. 관영 영자신문 글로벌타임스는 “지명을 표준화하는 것은 합법적인 조치이고 중국의 주권에 따른 권리”라고 주장했다. 이 신문의 설명에 따르면 “난은 고대부터 중국의 영토였던 시짱에 위치”하고 있으며 “국가 주권을 지키고 국경의 평화를 유지하기 위해” 법적인 정비를 한 것일 뿐이다. 

 

중국은 2017년 개명 운동을 시작하며 지명 목록을 처음 발표했고 2021년 2차 목록을 내놨다. 지난해 1월 1일부터는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승인된 새 토지국경법을 발효시켰고 5월에는 개명을 본격화하기 위해 내각인 국무원이 지명 관리규정을 개정하기까지 했다. 세 차례 표준화로 공시된 지명은 총 32개다. 사회과학원 산하 국경지대연구소의 지역 전문가는 “난의 지명들은 티베트족과 로바족과 몬족 등 이 일대에 살아온 민족들이 불러온 것”이며 “불법적인 ‘맥마흔 라인’에 따라 만들어진 이른바 아루나찰프라데시라는 이름을 중국은 결코 인정한 적 없다”고 주장한다.

 

 

100여 년 전 '미완의 조약'이 남긴 분쟁의 불씨

 

맥마흔 라인. 귀에 익은 이름이다. 영국이 인도를 점령통치하던 시절 영국령 인도와 티베트의 경계를 정한 선이다. 1914년 3월 영국은 인도 북부 히말라야 산지의 심라라는 곳에서 회의를 열고 중화민국과 티베트 대표들을 만나 사실상의 국경선을 만들었다. 중국이 서명하지 않았음에도 부탄에서 미얀마까지 히말라야 산맥을 따라 그어진 기나긴 가상의 선은 중국과 인도의 경계선이 됐다.

 

1947년 인도가 독립했고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됐다. 건국 이듬해인 1950년 중국은 티베트를 침공해 영토로 만들었다. 맥마흔 라인에 걸쳐진 몇몇 지역도 중국이 차지해 티베트 자치주에 집어넣었다. 티베트는 독립국가가 아니므로 티베트가 서명한 심라 협정과 맥마흔 라인은 불법이라고 중국은 주장한다.

 

[글로벌타임스] China standardizes names of 11 more places in Zangnan, southern part of Xizang

 

중국의 주장이 무리일까? 맥마흔 라인에 대한 중국의 입장이 늘 일관됐던 것은 아니다. 일각에선 1959년 저우언라이(周恩來) 당시 총리가 적어둔 외교 노트를 들며 중국도 맥마흔 라인을 사실상의 국경으로 여기고 있었다고 주장한다. 실제로 1962년 전쟁에서 아루나찰프라데시를 점령했던 중국은 승리를 선언한 뒤 맥마흔 라인으로 철수했고 이듬해 인도군 포로들을 돌려보냈다. 하지만 지금의 중국은 그 시절의 힘 없는 나라가 아니다. 티베트 분리운동을 제압했고 아시아 남부의 패권을 위해 주변국들을 윽박지르는 대국이 됐다.

 

아서 헨리 맥마흔의 초상. 출처 영국 내셔널 포트레이트 갤러리

 

티베트의 정신적 지주인 달라이 라마의 발언들 때문에 혼선은 더 커졌다. 이 지역은 인도 땅이 아니라 티베트 땅이라고 강조하던 달라이 라마는 2008년 “티베트와 영국의 협정에 따르면 아루나찰프라데시는 인도의 일부”라고 인정하는 발언을 했다. 중국 정부에 달라이 라마의 말은 그다지 중요하지 않지만, 인도에 망명 중인 달라이 라마가 아루나찰프라데시를 방문하는 것은 중국을 격앙시키는 계기가 되곤 한다.

 

말 많고 탈 많은 구분선을 만든 아서 헨리 맥마흔(1862-1949) 영국 제국주의의 상징 같은 인물이다. 아시아와 중동-북아프리카 곳곳에 그의 그림자가 지금껏 어른거린다. 영국의 군인이자 외교관으로서 이집트와 인도에서 복무하면서 온갖 일에 관여했기 때문이다. 오스만투르크 제국을 무너뜨리기 위해 아랍인들을 부추기고 오늘날의 사우디아라비아와 요르단, 이라크 등의 밑바탕을 만든 과정은 메카 지도자와의 사이에 오간 ‘맥마흔-후세인 서신’으로 남아 있다. ‘아라비아의 로렌스’로 유명한 영국 장교 T. E. 로렌스의 책에도 맥마흔이 중요한 인물로 등장한다.

 


이스라엘과 아랍 양측에 국가 수립을 약속함으로써 팔레스타인을 배신한 영국의 이중 플레이가 드러난 뒤 아랍인들과 친했던 맥마흔은 외교관 일에서 물러났고 1949년 사망했다. 하지만 그가 인도에서 영국 제국의 ‘전권대사’로 활동하면서 남긴 유산인 ‘맥마흔 라인’은 아직도 골칫거리다. 중국과 인도의 국경이 4000km가 넘는데 그중 3400km가 넘는 구간은 양국 주장이 달라 국경이 확정되지 않았다. 맥마흔 라인뿐 아니라 영국이 멋대로 그은 1865년의 ‘존슨 라인’, 1899년의 ‘매카트니-맥도널드 라인’ 등등이 뒤죽박죽 얽혀 있는 탓이다.

 

1962년 전쟁까지 치르고...아시아 패권 싸움으로

 

독립 후 '비동맹'으로 목소리를 높였을 때만 해 인도와 중국의 사이는 좋았다. 특히 중국의 저우언라이와 인도의 자와할랄 네루는 교분이 깊었다. 1954년 인도가 아루나찰프라데시를 ‘북동경계지역(NEFA)’이라는 행정구역으로 만들었을 때에도 중국이 대놓고 반발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맥마흔 라인의 이곳저곳에서 양국의 입장이 갈렸고, 결국 전쟁이 일어났다. 1962년 한판 붙은 뒤에 양국은 실질통제선(LAC)이라는 국경 아닌 국경을 만들었다. 이 선을 사이에 두고 인도에서는 우타르프라데시, 히마찰프라데시, 시킴, 아루나찰프라데시의 4개 주가, 중국에서는 티베트자치주가 접경하고 있다. 

 

Tibetan, British and Chinese participants and plenipotentiaries to the Simla Treaty in 1914. WIKIPEDIA

 

하지만 양국 모두 현상태에 만족하지 않는다. 2008년 만모한 싱 당시 인도 총리가 아루나찰프라데시를 방문하자 중국은 공식 항의하고 아시아개발은행(ADB)이 인도에 차관을 내주는 걸 방해했다. 2014년에는 모디 총리가 이 일대 2000km 길이의 도로 건설 계획을 발표했다. 중국은 국경지대 곳곳에 기지를 만들고 도로를 깔며 '군사화'하는 것으로 응답했다.

 

서쪽의 악사이친에서는 인도가, 동쪽의 아루나찰프라데시에서는 중국이 상대방에게 불법 점령을 당했다고 주장한다. 2020년 6월 또 다른 분쟁지역인 중국령 악사이친과 인도령 라다크 구간에서 유혈 충돌이 일어나 양측 군인 24명이 숨졌다. 두 나라가 외교회담을 갖고 사태를 진정시켰지만 지난해 12월 아루나찰프라데시의 타왕에서 양측 군대가 다시 교전을 했다. 해발 3000m에 위치한 타왕은 티베트 불교도들의 순례지로 유명한데 중국 측 지역과의 거리가 35km밖에 안 된다. 인도 측은 인민해방군이 타왕을 접수하려 공격했으나 실패했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인도도 도발의 책임에서 자유롭지는 않다. 지난달 말 인도가 주요 20개국(G20)이 참여하는 혁신기술 관련 회의를 아루나찰프라데시의 주도 이타나가르에서 열자 중국이 보이콧하는 일이 있었다.

 

Tawang, a centre for Buddhism, has long been the focus of tensions between India and China. AFP

 

지난해 발리에서 열린 G20 정상회의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잠시 대화를 나눴지만 관계가 풀릴 기미는 없다. 몇 년 전만 해도 두 나라 국경분쟁이 맞교환 형식으로 이뤄질 수 있을 것이라는 관측이 있었다. 중국은 아루나찰프라데시가 인도 땅임을 인정하고, 그 대신 광물이 풍부한 악사이친의 주권을 인정받는 쪽으로 해결될 것이라는 전망이었다. 하지만 이 해법은 점점 멀어져간다. 두 나라 갈등은 단순한 영토 분쟁이 아니라 아시아의 패권을 놓고 벌어지는 강대국들간의 전략적 경쟁이 돼가고 있기 때문이다. 인도 언론 더힌두는 “‘발명된 이름’으로 영유권을 주장하며 인도를 모욕한 것”이라며 중국의 개명 조치가 “앞으로의 더 심각한 계획”을 시사하는 것일 수 있다고 적었다. 

 

이름을 붙이는 것은 ‘우리 땅’임을 선언하는 고전적인 수법이다. 중국은 남중국해에서도 2020년 섬과 암초 등 80개의 중국어 지명과 좌표를 발표했다. 히말라야가 제2의 남중국해가 될 것이라는 얘기는 진작부터 나왔다. 

 

'중국 남하 막아라'… 미국까지 가세

 

100년 전 영국이 던진 불씨에 지금은 미국이 장작을 보태고 있다. 인도를 부추겨 중국에 맞서게 하는 것이 미국의 전략이며, 일본·호주와 인도를 끌어들인 4자 안보기구 ‘쿼드’가 그 도구다. ‘히말라야 전쟁 게임’ 뒤에도 미국이 있다. 작년 11월~12월에는 미국과 인도가 2주 동안 실질통제선에서 가까운 인도 북부 아울리에서 합동군사훈련을 했다. 일주일 뒤 인민해방군이 타왕을 공격한 것은 그에 대한 보복이기도 했다.

 

Indian troops being inspected in the Ladakh region during the 1962 war with China. GETTY IMAGES

 

아루나찰프라데시 문제에서도 미국은 인도 편이다. 백악관 대변인은 “지명을 바꿔 영유권 주장을 강화하는 것에 반대한다”고 했고, 미국의 응원을 등에 업은 인도는 무력 충돌에 대비해 실질통제선을 따라 군사태세를 강화하기 시작했다. 지난 세기 서먹했던 인도와 미국은 냉전이 끝난 뒤 한층 가까워졌고, 인도는 핵무기 보유를 사실상 공인받는 대가로 미국과의 관계를 강화했다. 경제적, 군사적 이해관계도 있었지만 경제발전에서 앞서 나간 중국에 대한 경계심이 무엇보다 컸다.

 

[인디아투데이] US recognises McMahon line as international border between China and Arunachal: Bipartisan resolution

 

인도는 국경 분쟁도 ‘중국의 남하’라는 맥락 속에서 해석한다. 미국은 인도의 두려움을 이용해 중국 포위전선을 구축하려 하고 있다. 비동맹 노선을 견지해온 인도가 미국과 군사동맹으로 나아갈 가능성은 적지만 미국과 점점 긴밀해져가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

 

시진핑(왼쪽) 중국 국가주석이 2014년 9월 17일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 함께 마하트마 간디 생가를 방문해 간디의 물레를 돌려보고 있다. 아마다바드=신화 연합뉴스

 

중국, 인도, 미국의 삼각관계. 그 사이에 끼어 있는 주민들은 어떨까. 중국 정부가 날마다 쏟아내는 공지들 중에는 티베트의 경제개발 성과를 자랑하는 것들도 적잖다. 그러나 독립을 꿈꾸던 티베트인들이 핍박받은 사실을 모르는 사람은 없다. 티베트가 중국에 맞서 저항했듯, 아루나찰프라데시에서도 봉기가 몇 번이고 일어났다. 타니족, 나가족 분리운동 단체들과 공산주의 그룹들은 인도 정부의 고강도 탄압을 받고 있다. 티베트와 아루나찰프라데시 모두 중국과 인도의 다른 지역보다 경제적으로도 뒤쳐져 있다. 두 지역 사람들의 진짜 ‘적’은 어쩌면 옆 나라가 아닌 자기네 나라의 억압적인 정부인지도 모른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