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144

이란의 역사

이란은 열사의 사막이 아니다. 걸프의 거대한 모래국가와 달리 이란은 기본적으로 사막이 아닌 ‘고원’으로 이뤄져 있다. 북쪽의 고원지대는 상당히 추워서 1년의 절반 동안 눈에 덮여 있는 곳들도 있다고 한다. 이란의 부자들은 이 고원지대에 스키를 타러 다닌다고 한다. 압바스 키아로스타미의 영화에 나오는 ‘추운 마을’들을 연상하면 되지 않을까 싶다. 이란, 아리안 이 이란고원에 인류가 둥지를 튼 것은 아주 오랜 일이다. 페르샤라는 이름을 대체 언제부터 들어왔던가. 이란인의 직접적인 조상은 인도-유럽어족의 한 갈래인 아리안들이다. 이들이 고원에 들어온 것은 기원전 2500년 쯤으로 추정된다. 중앙아시아 초원에 살던 아리안들은 기원전 3000년-4000년 무렵에 이동해서 일부는 유럽에 들어가 게르만, 슬라브, 라..

이란 대선, 중도-개혁파 하산 로하니 당선!

이란 대선에서 개혁파 하산 로하니가 압도적 승리를 거뒀습니다. 이로써 이란은 마무드 아마디네자드 강경보수파 정권에서 8년만에 개혁파 정권으로의 전환을 이루게 됐습니다. 14일 대선에서 로하니는 3670만 표 가운데 1861만 표를 얻어 50.7%의 득표율로 당선됐다고 모스타파 모하마드-나자르 내무장관이 15일 발표했습니다. 당초 이번 선거에서는 과반 득표자가 나오지 못한 채 1, 2위 후보가 결선투표를 치러야 할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하지만 선거 막바지에 다른 개혁파 후보가 사퇴하면서 중도 온건 성향의 로하니가 사실상의 '개혁파 단일 후보'가 되면서 개혁파 바람이 불었습니다. [이란 대선] 개혁파의 꿈은 사라지지 않았다 개혁파들의 대부 격인 하셰미 라프산자니와 모하마드 하타미 등 두 전직 대통령이 나서서..

개혁파의 꿈은 사라지지 않았다... 14일 이란 대선

개혁을 주도할 정치력이 있는 후보들은 출마가 금지되고, 지도자급 인사들은 가택연금을 당했다. 비판적인 언론은 이미 폐쇄됐고 지식인들은 망명했거나 재갈이 물렸다. 하지만 ‘더 많은 자유’와 ‘더 나은 삶’을 원하는 이란 사람들의 꿈은 탄압 속에서도 사라지지 않았다. 14일 대선을 앞두고 개혁파 후보가 사실상 ‘단일화’되면서, 개혁 지지자들의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지난달 8명의 대선후보가 정해졌을 때만 해도 개혁파에게는 희망이 없어보였다. 가장 기대를 걸었던 하셰미 라프산자니 전 대통령의 출마가 좌절되면서 보수파들끼리의 경쟁이 될 것으로 예상됐기 때문이다. 하지만 선거를 일주일도 안 남겨두고 중도온건파인 하산 로하니가 급부상했다. 당선 가능성이 적었던 개혁파 후보가 사퇴하고 로하니에게 힘이 실리면서, 투표..

이란 대선, 라프산자니도 '후보 탈락'

또다시 이란 대선의 계절이 다가왔습니다... 이란 대선에 대한 기사를 쓰는 게 이번이 네번째. 이번엔 좀 현장에 가서 '보면서' 쓰고 싶은데 말입니다 ㅠ.ㅠ 다음달 대선을 앞둔 이란에서 무소불위의 최고권력기구인 혁명수호위원회가 유력후보 2명의 출마를 아예 금지시켜버렸습니다. 현대통령이 밀어주는 보수파 세속정치인과, 이미 대통령을 두 차례 지낸 중도·개혁파의 대부를 선거에 출마조차 할 수 없게 만든 겁니다. [프레스TV] GC approves eight hopefuls for June 14 presidential vote: Report 대선후보 자격을 심사할 권한을 가진 혁명수호위는 21일 하셰미 라프산자니 전대통령(78)과 에스판디아르 라힘 마샤에이 대통령 비서실장(54)가 적합성 검증을 통과하지 못했다..

이란 남동부 지진... 피해 커질까

이란 남동부 파키스탄 접경지대에서 규모 7.5의 강진이 일어나 40명 이상이 숨졌다고 이란 프레스TV가 보도했다. 지진이 난 곳은 소수민족 밀집 지역인 발루치스탄으로, 파키스탄 내 발루치스탄 자치주와 이어져 있다. 이란 지질학센터는 발루치스탄 중심도시인 사라반에서 북쪽으로 81km 떨어진 곳이 진앙지라고 밝혔다.전 세계 지진 발생 상황을 실시간 공개하는 미국 지질조사기구(USGS)는 지표면 15.2㎞ 지점에서 지진이 일어난 것으로 보인다고 발표했다. 중국 신화통신은 이번 지진이 인도 뉴델리에서도 감지될 정도로 충격이 컸다고 보도했다. 이란은 지질학자들이 말하는 판구조에서 이란판과 아랍판이 만나는 곳에 있다. 지난 9일에도 원전이 위치한 부셰르 인근에서 규모 6.3의 지진이 일어나 최소 37명이 숨진 것으..

"나도 크면 북한처럼" 워싱턴포스트 재미난 만평

북한의 일거수일투족, 정확히 말하면 아직까지 뭔가 행동한 것은 없으니 '말 한 마디'에 세계가 화들짝 놀라는 상황이 연일 계속되고 있습니다. 오늘 보여드릴 것은 미국의 워싱턴포스트에 실린 만평입니다. 퓰리처상을 받은 카투니스트 톰 톨스의 작품인데요. (다른 작품들을 더 구경하시려면 톰 톨스 블로그로) 핵 가지고 장난치는 꼬꼬마 김정은을 바라보며 다 늙은 이란 옹은 이런 생각을 합니다.'나도 커서 쟤처럼 돼야지.' 미국이 골칫거리로 생각하는 두 존재, 북한과 이란을 나란히 꼬집었습니다. 이란, 하면 아직도 호메이니의 이미지가 강하지요. 역사에 관심 있는 이들은 '페르시아'로 알려져 온 이 나라의 오랜 역사를 떠올릴 수도 있고요.지금 이란 최고종교지도자인 아야툴라 알리 하메네이는 1939년생, 김정은은 19..

이집트와 이란이 친해지면?

(한동안 '돋움' 글씨체에 크기는 10포인트로 해왔는데 말이죠... 제가 요즘 늙었나봐요. 넘 작아서 잘 안 보여요... 랩톱 화면이 작아서 더 그런 걸까요? 암튼 그래서, 글자 크기 11포인트로 키웠습니다 ㅎㅎ) 오랜만에 중동 소식 들여다보려니 (눈이 나빠서가 아니라 머리가 나빠서;;) 이것도 좀 힘드네요. 암튼 이집트와 이란 사이에 직항 항공편이 개설됐다는, 아무것도 아닌 것 같지만 또 아무 것도 아닌 게 아닌 소식입니다. 두 나라 사이에 비행기가 오가는 것은 이란 이슬람혁명 이후 34년만이거든요. 이집트 카이로와 이란의 테헤란을 잇는 민간 항공기가 30일 운항을 시작했다고 알자지라방송이 보도했습니다. 두 나라 사이에 직항편이 오가는 것은 이란 이슬람혁명 이후 처음입니다. 새로 개설된 항공편은 이집트..

파키스탄, 미 반대에도 이란과 손잡고 가스관 착공

파키스탄의 젊은 공학자 말릭 아흐메드 칸은 1950년대에 도발적인 아이디어 하나를 내놨다. 파키스탄 군 기술학교 회지에 실린 ‘페르시아 파이프라인’이라는 그의 논문은 이란과 파키스탄을 잇는 에너지 연결망이라는 제안을 담고 있었다. 하지만 당시 친미 왕국이었던 이란과 파키스탄은 사이가 좋지 않았고, 두 나라 사이에는 영토분쟁 지역인 발루치스탄이 자리잡고 있었다. 이란의 에너지를 파키스탄과 인도로 수송한다는 발상은 매력적이었지만 실현불가능한 것으로 받아들여졌다. 아흐메드 칸은 이미 숨졌지만 반세기가 넘어 그의 꿈은 이루어졌다. 파키스탄 일간 돈(DAWN)은 11일 이란-파키스탄 천연가스관 공사가 시작됐으며, 아시프 알리 자르다리 대통령이 이란 국경도시 차바하르를 방문해 마무드 아마디네자드 이란 대통령과 착공..

이란 '제2의 혁명' 일어날까

이집트 혁명의 여파가 어디까지 이어질까요. 이집트에 이어 이란에서도 반정부 시위가 시작됐습니다. 어제(14일) 이란 수도 테헤란에서 수만 명이 거리로 쏟아져 나와 반정부 시위를 벌였습니다. ▶ Tear gas used on Iran protesters /알자지라 ▶ 이란 반정부시위 격화…사상자 발생 /연합 시위대는 “독재자에게 죽음을” “벤 알리, 무바라크, 다음 순서는 사예드 알리”라고 외쳤다고 합니다. 이란 최고종교지도자인 아야툴라 하메네이의 이름이 사예드 알리죠. An Iranian ptotester throws a stone at riot police during an anti-government demonstration, under the pretext of rallies supporting A..

2010 중동·아프리카

이라크전이 공식 종료됐습니다. 이란 핵문제는 별 돌출 없이 한 해 동안 지리한 공방이 반복됐습니다. 이스라엘의 여러 가지 만행과 말썽이 또다시 문제가 됐습니다. 아프리카는 의미심장한 한 해를 보냈습니다. 이 복잡다단한 지역에 대한 초간략 정리랍니다. 먼저 중동 정세. 이라크 미군 철수, 전쟁 종료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8월 31일 대국민 연설에서 ‘이라크 자유작전(Operation Iraqi Freedom)’이 끝났다고 선언했습니다. 이로써 미국의 이라크 전쟁은 공식 종료됐습니다. 미군은 이미 올초부터 단계별 철수를 시작해 8월 말에는 전투부대들이 거의 모두 이라크를 떠났습니다. 시리아 접경지대 등 ‘요주의 지역’을 남기고 바그다드 시내의 캠프들은 폐쇄됐습니다. 한때 16만명에 이르던 미군들은 9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