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나는 한 손에 올리브 가지를, 한 손에는 총을 들고 있다. 내 손이 올리브 가지를 놓지 않게 해 달라"
이스라엘이 중동 각국을 상대로 연이은 전쟁을 치르면서 국가로서의 면모를 나날이 일신하고 있던 1970년대, 유엔 총회장에 망명자의 신분으로 나타나 세계를 상대로 연설을 했던 그 사람, 이제 거의 죽어가는 모양이다. 방금 전 뉴스를 보니 혼수상태에 빠졌다고 하는데, 뉴스 나오는 형식을 보니까 거의 가망이 없는 듯하다. 죽음을 눈 앞에 둔 그 사람, 그리고 싫든 좋든 그를 보내야만 하는 팔레스타인의 민중들.
팔레스타인 민족해방운동의 상징이었던 야세르 아라파트는 1929년 이집트의 카이로에서 태어났다. 아버지의 집안은 아마도 무명의 상인 집안이었던 듯하며, 알려진 바가 별로 없다. '민족해방운동의 지도자' 아라파트에게 도움이 됐던 것은 외가였다. 아라파트의 외가는 팔레스타인의 양대 세도가문으로 통했던 알 후세이니 가문이고, 아라파트는 외삼촌 밑에서 자랐다.
어릴적에는 알 후세이니라는 성(姓)으로 알려졌던 아라파트는 후에 팔레스타인 해방운동에 투신하면서 스스로 '야세르 아라파트'라는 이름을 지었다. '아라파트'는 사우디아라비아의 메카 근방에 있는 평원의 이름이고, '야세르'는 '근심 없는 사람'이라는 뜻이다. 하지만 이 사람은, 이름과는 정반대로 아마도 일평생 근심걱정 속에서 살았을 것이다.
아라파트의 정치활동은 1948년 이스라엘 건국과 함께 일어난 전쟁에 참전하면서 시작됐다. 유태인 시오니스트들의 팔레스타인 이주는 이미 19세기 말부터 시작됐고 이스라엘의 건국 선언은 그 땅에 살고 있던 아랍인들에게는 확인사살에 불과했을 수도 있지만, 아라파트는 이 전쟁을 통해 이스라엘에 맞서는 평생의 임무를 시작했다.
아라파트가 대학생이던 시절의 카이로는 (지금도 그렇듯이) 아랍 지성계의 중심지였고, 카이로의 대학들에는 중동 각지에서 온 해방운동가들이 모여들었다. 그 중의 한 명이었던 아라파트는 선동가 자질을 타고난 덕에 일찍부터 두각을 나타내면서 학생 동맹을 주도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금은 아라파트의 공식 호칭이 '팔레스타인 자치정부(PA) 수반'이지만 몇년전까지만 해도(혹은 지금도) 아라파트의 이름은 '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와 뗄레야 뗄 수 없는 이름이었다. 아라파트는 1959년 PA의 전신 격인 PLO의 주축 '알 파타' 조직을 창설했다. 알 파타는 10년 뒤 PLO로 확대개편됐으며 아라파트는 PLO를 통해 팔레스타인 해방운동의 중심 인물로 부상한다. 격렬한 투쟁을 통해 아라파트는 이스라엘에 맞선 해방운동의 상징이라는 위상을 얻게 됐고, 첫머리에서 말한 유엔 총회 연설을 통해 국제사회의 '공인'을 받았다.
아라파트의 투쟁 역정이 순탄했을 리 없다. 국제사회에서는 '상징성'을 인정받았지만 팔레스타인의 해방운동은 곡절에 곡절을 거듭했다. 1970년대 중동전쟁을 거치면서 아랍 각국은 팔레스타인 문제에 있어서는 무능력할 뿐임을 보여줬고, 투쟁은 침체기를 맞는다.
평화협상 뒤 라빈 총리는 유대 극우파에 암살됐으며 평화협상은 난항에 난항을 거듭했다. 팔레스타인만 놓고 보자면, 이 문제는 아라파트의 권력기반과 관련이 있다. 아라파트는 앞서 말한대로 팔레스타인의 전통적인 세도가문 출신이고, 계급투쟁 우선론자들은 그의 부르주아지적 속성을 줄기차게 비판해왔다.
'딸기가 보는 세상 > 인샤알라, 중동이슬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니아왕비 (0) | 2005.04.11 |
---|---|
바그다드와 카이로 (0) | 2005.01.15 |
이 사람의 죽음 - 야세르 아라파트 (0) | 2004.11.08 |
천 개의 문을 가진 테베 (0) | 2004.10.05 |
승자의 도시, 그늘진 도시 카이로 (0) | 2004.08.19 |
:: 이슬람 용어 몇가지:: (0) | 2004.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