딸기가 보는 세상/구정은의 '세계, 이곳'

[구정은의 '세계, 이곳'] 샤름엘셰이크의 기후회의, "이집트가 돌아왔다"

딸기21 2022. 11. 19. 07:26
728x90

브라질에서 최근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브라질 대통령이 재집권하며 남미 좌파 정치의 부활을 알렸다. 극우파 정권 밑에서 세계의 천덕꾸러기로 전락했던 브라질이 다시 변화의 바람을 탄 것이다. 


'룰라의 귀환'을 국제사회에 실감시켜준 장면이 있었다. 이집트 시나이반도 휴양지 샤름엘셰이크에 그가 16일 나타나자 열광하는 사람들의 모습이 세계 언론에 잡혔다. 유엔 기후변화협약 27차 당사국총회(COP27) 참석차 방문한 이곳에서 룰라는 전 정권 시절 파괴된 아마존 열대우림을 복원하고 '기후 범죄자'들을 쫓아내겠다고 약속했다. 

 

Huge crowds gathered to see Lula speak. /BBC


룰라의 재기를 보여준 샤름엘셰이크. 이전 같았으면 기후대응 논의와는 거리가 멀었던 곳이다. 홍해 연안에 위치한 인구 7만3000명의 작은 도시로 이집트인들은 흔히 ‘샤름’이라 줄여 부르는 이곳은 걸프 부자들의 휴양지로 유명하다. ‘평화의 도시’라는 이름과 달리 편치 않은 역사를 지닌 곳이기도 하다. 홍해 아카바 만 입구에서 티란 해협(이집트어로는 라스 나스라니)을 내려다보는 곶에 있는데 전략적 요충지라 이집트 해군의 주요 기지로 쓰인다. 1956년 수에즈 위기 때에는 이스라엘군 낙하산 부대가 내려와 민간인 수백명을 살해하고 항구를 점령했다. 1년 만에 이집트가 반환받았지만 이후 유엔 평화유지군이 주둔했고 1967년 ‘6일 전쟁(제3차 중동 전쟁)’ 때에는 다시 이스라엘이 점령했다. 1979년 이집트-이스라엘 평화조약이 체결됐지만 이스라엘은 3년 뒤에야 반환했다. 

 

1982년 시나이 반도를 돌려받은 이집트의 호스니 무바라크 대통령은 샤름을 공식적으로 ‘평화의 도시’로 선포하고 개발에 나섰다. 1960년대 말까지 어부들이 가끔 들르는 정도였던 한적한 바닷가에 호텔들이 들어서기 시작했다. 지금은 홍해 산호초를 구경하는 스쿠버다이빙의 성지로 유명하다. 관광사이트들은 사막 사파리와 낙타 트레킹, 사륜바이크, 패러세일링 같은 여행상품을 홍보한다. 시나이 성지순례객들의 주된 방문지이기도 하다. 하지만 2005년 이슬람 극단조직의 테러공격으로 88명이 목숨을 잃는 비극도 있었다.

 

WIKIPEDIA


국제뉴스에서는 휴양지가 아닌 주요 회의 개최지나 협상무대로 자주 등장한다. 1999년 9월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의 자치권을 회복시키기 위해 이-팔 양측과 이집트가 협정을 맺은 곳이 이 도시였다. 그러나 이듬해 이스라엘 우파 정치인의 도발로 '2차 인티파다(팔레스타인 봉기)'가 일어났다. 이 사태를 해결하려고 다시 샤름에 정상들이 모였다. 2005년에는 중동 정상회의가 열렸고, 2007년에는 다시 아랍권 각료들이 모여 전후 이라크 재건을 위해 머리를 맞댔다. 2006년과 2008년에는 중동 경제포럼이 개최됐다.


샤름에서 열린 회의들은 이 밖에도 셀 수 없을 정도다. 그 배경에 있었던 것은 이집트가 중동 역내에서 차지하고 있던 위상이었다. 걸프 국가들처럼 자원이 많은 것도 아니고 현대 공화국 수립 이후 대부분의 기간을 독재정권 하에서 보냈음에도 아랍 세계에서 이집트가 가진 권위는 무시할 수 없었다. 초대 대통령이자 '비동맹'의 중심이었던 가말 압둘 나세르까지 거슬러올라가지 않더라도, 무바라크 시절 이집트는 중동-북아프리카 지정학의 중심에 있는 외교 대국이었다. 콥트교(이집트 기독교) 신자였던 부트로스 부트로스 갈리는 유엔 사무총장을 지냈다. 유엔 주재 대사와 외교장관을 역임한 아므르 무사는 2000년대 10년 동안 아랍연맹 사무총장을 맡았다. 1997년부터 2009년까지 국제원자력기구(IAEA)를 이끈 유엔의 핵 감시 책임자 모하마드 엘바라데이도 이집트 출신이었다.

 

Getty Images


하지만 안에서 썩을대로 썩은 정치를 바깥에서의 화려한 행보로 언제까지나 치장할 수는 없었다. 2011년 ‘아랍의 봄’이 중동과 북아프리카를 휩쓸었다. 튀니지에서 시작된 혁명의 물결이 카이로까지 전파돼 왔고 무바라크 30년 독재정권이 무너졌다. 무바라크가 쫓겨가 피신한 곳은 샤름이었다. 한때 각국 정상들을 불러모으곤 했던 바로 그곳에서 그 해 2월 11일 무바라크는 사임을 발표했다.


사우디 왕실이 망명을 제안했으나 무바라크는 "샤름에서 죽고 싶다"고 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샤름의 풍광 좋은 바닷가에 있던 무바라크의 저택은 '팰리스(궁전)'라 불렸다고 한다. 무바라크가 기소됐을 때 그의 궁전을 둘러싼 부패의 고리들이 밝혀졌다. 마다마스르 등 독립언론들은 카이로 외곽 헬리오폴리스에 있는 호화 저택과 샤름의 궁전 등을 꾸미느라 무바라크 일가가 나랏돈을 흥청망청 끌어다 쓴 사례들을 열거했다. 주택장관이 건축업자들을 불러 무바라크 일가의 샤름 저택 정원 설계를 지시했을 정도로 권력을 사유화했던 사실이 드러났다.


혁명은 뜨거웠지만 민주선거로 선출된 무슬림형제단 정부는 국민의 뜻에 반하는 정치를 펼쳤고 이집트의 민주주의는 굴절됐다. 군부의 유혈진압으로 형제단과 그 지지자 800명이 하루에 목숨을 잃는 대규모 유혈사태가 벌어졌다. 학살로 집권한 군부 지도자 압델 파타 엘시시 현 대통령은 2020년 무바라크가 사망하자 ‘국장’으로 모셨다. 무바라크는 잠시 옥에 갇혔다가 풀려났고 카이로 병원에서 사망하기 직전까지 샤름에서 평안한 가택연금생활을 했으니, '샤름에서 죽겠다'던 소원을 이룬 셈이다. 반면 이집트인들은 언론과 집회의 자유를 비롯한 모든 정치적 자유를 다시 빼앗겼다. 

 

President Joe Biden speaks during a meeting with Egyptian President Abdel Fattah el-Sisi at the COP27 U.N. Climate Summit, Friday, Nov. 11, 2022, at Sharm el-Sheikh, Egypt. /AP


이집트가 주요 외교 현안에서 상대적으로 떨어져 있던 10년 새 중동-북아프리카 외교의 중심은 카타르나 아랍에미리트연합(UAE)처럼 과거 이집트와는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없었던 걸프 국가들로 옮겨갔다. 이 기간에 이집트 정부는 무슬림형제단을 제거하고 이슬람주의를 억누르는 데에 국내정치의 초점을 맞췄다. 대외 정책도 이에 사실상 종속돼, 이전에는 협력보다 경쟁에 가까웠던 사우디와 UAE에 밀착했다.

 

이란, 카타르, 터키 등 이른바 '이슬람 친화적인' 국가들을 견제하기 위한 것이었다. 사우디와 UAE의 돈을 끌어다 쓸 수 있었다는 점도 유인 요인이었다. UAE 실권자인 모하메드 빈 자이드 왕세제가 이집트와 걸프의 연결고리였다. 이집트는 리비아에서 세속주의 세력을 지지하는 데에 동참했고, 가자지구 정치조직 하마스를 '테러단체' 목록에 올렸다. 이렇게 발을 맞추긴 했지만 이집트의 주된 관심은 역시나 외교보다 국내 정세와 경제 문제였다.


2020년부터 국제사회 눈치를 보며 한동안 물러나 있던 이집트가 다시 기지개를 켜기 시작했다. 키프로스, 이스라엘, 그리스와 함께 터키가 중심이 된 동지중해가스포럼(EMGF, EastMed)에 이름을 올렸고, 2021년 1월 카타르와 걸프국들의 화해를 담은 알 울라 협정에도 동참했다. 카타르 위성방송 알자지라는 이집트 내 방송금지가 풀려 다시 기자들을 카이로에 파견했다. 내전 이후 시리아의 안정을 다루기 위해 터키, 이란, 러시아가 중심이 돼 '아스타나 프로세스'라 불리는 외교협의체가 구성된 바 있다. 이집트는 당사국인 시리아를 빼면 이 과정에 참여한 유일한 아랍국이었다. '아랍 지도자'의 역할을 되찾으려 하는 것으로 풀이됐다. 요르단, 이라크와 함께 ‘아랍 동맹’을 강화하려는 노력도 했다. 

 

https://www.expedia.com/Sharm-El-Sheikh.dx3274


지난해 5월 가자지구에서 이-팔 ‘11일 분쟁’이 벌어졌을 때 중재자로 나선 것도 눈에 띄었다. 미국은 이 과정에서 수십년 동안 그래왔듯이 이집트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 엘시시가 집권했을 때 미국 버락 오바마 행정부는 합동군사훈련을 중단하는 등 거리를 두는 척했지만 잠시 뿐, 이내 이집트와 관계를 복원했다. 2019년 도널드 트럼프 당시 미국 대통령은 엘시시를 “내 친애하는 독재자(my favorite dictator)”라고 불렀다. 

 

미국 민주당 정권 출범 뒤 이집트와 관계가 나빠질 것이라던 예상과 달리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엘 시시의 일주일 새 두 차례 통화, 앤서니 블링컨 미 국무장관의 카이로 공식 방문, 압바스 카멜 이집트 정보국장의 워싱턴 답방 등이 이어졌다. 백악관은 이집트에 국방 원조를 하면서 인권문제 조건을 대거 없애줘 사실상 '인권 모라토리엄'을 선물했다. 바이든과 엘시시는 지난 11일 샤름의 ‘토리노 람보르기니 국제컨벤션 센터’에서 만나 양국 국교 100년을 기념하며 “전략적 협력을 늘릴 기회”라고 선언했다.


이집트의 자신감을 부추기는 또 하나의 요인은 에너지 잠재력이다. 경제가 위축돼 있는 동안 이집트는 무바라크 시절부터 계획해온 에너지 허브 구상을 구체화했다. 2015년 지중해 해상에서 대규모 가스전이 발견된 것은 이집트에는 더할 나위 없는 호재였다. 한동안 전력사정이 다급했지만 지금은 전기가 남는다. 홍해 연안 사막에 조성한 거대 풍력발전 단지와 태양광 발전계획을 발판 삼아 키프로스 섬을 거쳐 유럽으로 이어지는 에너지 공급망을 만드는 것이 이집트의 목표다. 이집트의 기후조건과 기후전환 시대 주변국들의 필요가 맞아떨어지는 것이다. 

 

Egypt to open major new wind power farm in Red Sea- amwalalghad.com

 

물론 이전에도 논의됐다가 지지부진해진 것들, 안팎의 리스크가 커서 계획에 그치고 말 공산이 큰 것들도 적지 않다. 그럼에도 이집트가 위상을 되찾기 위해 나서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 유럽외교관계위원회(ECFR)는 “이집트가 다시 돌아왔다는 메시지를 분명히 보여주려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집트를 포기할 수 없는 워싱턴의 지정학적 이해관계를 놓고 혹자는 ‘대마불사(too big to fail)’라는 표현을 쓰기도 했다. 유럽에도 이집트는 중요한 파트너다. 지중해 남쪽의 안정을 위해 이집트와 협력해야 하는 것이다. 유럽연합(EU)은 민주적 규범과 인권 같은 핵심 가치를 강조하면서도 동시에 이집트와 협력할 채비를 하고 있다.


샤름에서 열린 COP27은 이집트의 국제무대 복귀를 알리는 팡파레였다. 6일부터 18일까지 이어진 이 회의를 통해 이집트가 기후외교의 중심에 섰다고 현지 언론 알아흐람 등은 보도했다. 영국 가디언이 전한 풍경은 사뭇 다르다. 3만여명의 기후회의 참석자들은 열악한 인프라에 힘들어했고, 가짜 원형극장에 거대 공룡 모형이 ‘짝퉁 라스베이거스’를 연상케하는 도시 한편에서는 ‘무카바라트’라고 불리는 정보요원들이 100m 간격으로 줄 서서 독재의 냄새를 풍기고 있었다고 보도했다. 샤름은 파리협약이나 교토의정서처럼 기후대응의 역사에 이름을 남긴 도시가 될 수 있을까. 이집트인들이 염원하는 자유는 독재의 장벽을 넘어설 수 있을까. 룰라의 브라질처럼, 이집트도 궤도를 찾아갈 수 있을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