딸기네 책방 864

중간착취자의 나라

중간착취자의 나라이한. 미지북스 비정규직 문제는 지금 한국사회에서 가장 심각한 문제다. 아니, 따지고 들면 전 세계의 모든 문제는 이리로 귀결된다 해도 될 것 같다. 노동력이 값싼 물건이 되고, 더불어 일을 하는 사람도 값싼 상품이 돼버린. 이 책의 저자는 변호사다. 책은 비정규직이 사회에 미치는 긍정적/부정적 효과, 비정규직 문제를 어떻게 볼 것이며 어떤 방향으로 해결해야 할 것인가를 설명한다. 사례집이나 현장과 밀착된 연구서라기보다는, 뭐랄까, 비정규직 개념과 정의를 중심으로 원리원칙을 다지고 드는 학술서같은 느낌. 프롤로그는 인력관리 아웃소싱회사에서 일했던 사람의 인터뷰다. 도급계약서에서 가장 중요한 건 도급 금액, 기간, 인원, 결원율 한계죠. 이를테면 몇 억으로 도급 금액을 줄 테니 이 사업장에..

딸기네 책방 2017.09.25

베른트 하인리히, 홀로 숲으로 가다

나는 열 살 때까지 북부 독일의 숲으로 피난을 가서 6년 동안 살았다. 우리 가족이 가진 것은 아주 적었지만 나는 많은 것을 가지고 있었다. 까마귀를 애완용으로 키웠고 딱정벌레를 수집할 수도 있었다.상쾌하고 맑고 영원한 마법에 싸인 세상. 이제는 그저 이따금씩 떠오르는 그 생생함을 다시 맛볼 수 있을까? 난 이미 그런 조건들을 많이 갖추고 있긴 하다. 우리 가족이 미국으로 이주해온 이후 나는 메인 주의 시골에서 십대를 보내면서 사냥을 하고, 낚시를 하고, 덫을 놓는 법을 배웠다. 메인에서 만난 스승들은 이미 오래전에 내게 집에서 맥주 만드는 법을 가르쳐주었다. 나는 라이플총을 가지고 있고 통나무 오두막은 벌써 지어놓은 상태다. 나머지는 식은 죽 먹기일 것이다. 그래서 한번 해보기로 했다. (7쪽) 얼마전..

호세 무히카 조용한 혁명

한 권을 다 읽고 새 책을 펴는 것이 아니라 이 책 저 책 펼쳐놓고 읽다가 덮었다가 하다 보니, 한 권 다 끝내는 데에 몇 달씩 걸리기 일쑤다. 그렇게 읽다가 잊어버린 책들이 책꽂이, 책상 위, 서랍 속에서 발견되는 일도 종종 있다. 앞부분 읽은 내용도 다 잊어버려서 다시 들춰봐야 하는 것들. 그렇게 '발굴'한 것들 중에서 두 권, 토요일에 카페에 앉아 드디어 끝장을 보았다. 그 가운데 하나가 (마우리시오 라부페티, 박채연 옮김, 부키)이었다. 재미있었다. 이 책을 쓴 저널리스트 라부레티는 "예전에는 우루과이에서 왔다고 하면 바로 ‘축구'가 나왔지만 지금은 많은 지역에서 ‘무히카'를 말할 것이라고 장담할 수 있다"(17쪽)고 썼다. 그 말 그대로다. 내게 우루과이는 '우루과이 라운드' 혹은 '제1회 월드..

딸기네 책방 2017.09.14

스페인 내전

스페인 내전 - 20세기 모든 이념들의 격전장 The Battle for Spain 안토니 비버 (지은이) | 김원중 (옮긴이) | 교양인 | 2009-05-01 스페인 내전을 다룬 책은 조지 오웰의 밖에 읽은 적이 없었다. 관심을 갖고 들여다봐야 한다는 생각은 늘 했지만 어쩐지 손이 가지 않았다고나 할까. 더 정확히 말하면, 스르륵 훑어보기엔 너무나 크고 깊은 이야기여서 엄두가 나지 않았다. 안토니 비버의 이 책, 을 결국 읽고 말았다. 그리 긴 시간이나 넓은 공간을 다룬 것이 아닌데다 꽤 담담하게 내전 중 벌어진 일을 적어내려가고 있음에도, 역시나 무게감이 압도하는 느낌. 저자의 말마따나, 패배한 이들의 목소리로 해석되는 극히 드문 전쟁이다. 이미 결과를 다 알고 있는 상태에서 보는 내전의 기록이라니..

딸기네 책방 2017.09.05

슐로모 산드, '유대인, 불쾌한 진실'

'훗'에서 나온 을 읽었다. 저자인 슐로모 산드는 폴란드의 홀로코스트 생존자 가정에서 태어났고, 이디시(동유럽 유대인) 문화 속에서 자랐다. 지금은 텔아비브대학교 교수로 일하고 있는데 '유대 국가 이스라엘'을 맹렬히 비판하는 지식인으로 유명하다. , 같은 책을 통해 현대 이스라엘의 형성과정을 비판하는 좌파 지식인이다. 이스라엘 내에서는 미움을 많이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은 그가 2013년 쓴 'How I Stopped Being a Jew'를 번역한 것이다. 한국어판은 '알이따르'라는 공동번역집단에서 옮긴 것이라고 한다. 산드의 이 책은 이스라엘 문제(혹은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문제)를 조금 알고서 읽는다면 더 재미있겠지만, 굳이 몰라도 큰 상관은 없다. 저자는 '유대인들'과 그들이 겪은 홀로코스트가..

딸기네 책방 2017.08.20

싯다르타 무케르지, '의학의 법칙들'

의학의 법칙들 - 생명의 최전선, 가장 인간적인 과학의 현장에서 TED Books 8 싯다르타 무케르지. 강병철 옮김. 문학동네 에 이어 두 번째로 읽은 TED북스. 얇고 작고 짧지만 재미있다. 이 시리즈, 우습게 여기지 말고 보이는 족족 읽어야겠다. 싯다르타 무케르지의 를 근래 아주 재미있게 읽은 까닭에, 그 저자의 책이라는 이유만으로 믿고서! 펼쳐들었다. TED 강연을 정리한 간략한 책이지만 아주 재미있었다. 의사이고 학자인 무케르지의 이 책은 간단히 설명하면 그가 의학도들에게 전하는 '의사의 자세 혹은 의사가 잊지 말아야 할 것들'이라고 할 수 있다. 의사들은 불확실하고 시시때때로 환자들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무언가를 가지고서 생명을 다뤄야 하는 사람이라는 것, 그래서 그들이 잊지 말아야 할 원칙..

콜린 우다드, '분열하는 제국'

분열하는 제국 American Nations: A History of the Eleven Rival Regional Cultures of North America (2012년)콜린 우다드. 정유진 옮김. 글항아리 여름 휴가 때 읽은 재미난 책. 미국 건국 시기에 형성된 '11개의 국가(nation)'을 중심으로 미국의 과거와 오늘을 설명한다. 유진이 번역답게, 한글 문장도 말끔하다. 남쪽의 히스패닉 지역인 엘노르테, 청교도 필그림들이 정착해 세운 양키덤, 네덜란드의 자유로운 기풍이 토대가 된 뉴욕 등 뉴네덜란드, 노예제에 기대어 있던 보수적인 디프사우스, 아일랜드와 스코틀랜드에서 난민처럼 이주해온 거친 이들의 정착지인 그레이터 애팔래치아, 미국과 캐나다에 걸쳐져 있는 북부 원주민들의 퍼스트네이션, 동부 ..

딸기네 책방 2017.08.13

앨버트 린드먼, 현대 유럽의 역사

현대 유럽의 역사. 앨버트 린드먼. 장문석 옮김. 삼천리. 7/29 알차다. 마크 마조워 과 이언 부루마의 과 겹치면서도 결이 달라 재미있게 읽었다. 다만 유대인 문제에 좀 큰 비중을 두고 있다는 느낌. 그리고 굉장히 두껍다. 다 읽는 데에는 당연히 오랜 시간이 걸렸다 -_- 미국 역사학자인 저자는 19세기 이후 유럽의 혁명과 반혁명으로 시작해 20세기의 두 차례 전쟁과 냉전을 거쳐 2012년의 상황까지 200년 이상의 역사를 아우른다. 나폴레옹의 유산들로부터 유럽의 근현대를 끄집어내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현대 유럽의 역사'라고 책 제목이 박혀 있지만 시간적 폭은 상당히 넓다. 광활한 시공간적 배경을 다루면서도 여성 문제, 아일랜드 문제, 유대인 문제 등의 몇 가지 테마를 틈틈이 잊지 않고! 콕콕 짚..

딸기네 책방 2017.07.30

킹, 거리의 이야기

존 버거의 (김현우 옮김. 열화당)을 읽었다. 분명, 재미있었다. 글도 너무나 좋다. 하지만 이 책을 읽은 느낌을 '재미있다'라고 말해버리기는 쉽지 않다. 서글프고 비참하니까. 거리의 풍경, 사람들의 스케치, 인생에 대한 통찰은 어찌나 씁쓸한지. 옥탄 냄새가 나는 곳, 다이아몬드 냄새와도 약간 비슷하다. 여러분은 다이아몬드 냄새를 맡아 보신 적이 없겠지만. -10쪽 개들은 모두 숲을 꿈꾼다. 거기 가 보았든, 가 보지 않았든 상관없이. 심지어 이집트의 개들도 숲을 꿈꾼다. -11쪽 요아킴이 오렌지색 페인트를 한 통 구해주었다. 자기 집에 칠하기는 너무 밝다고 했다. 가족을 위한 색이라고, 그는 말했다. -37쪽 내가 말하는 방식은 이상하다. 왜냐하면 나도 내가 누군지 확신이 없기 때문이다. 많은 것들이 ..

딸기네 책방 2017.07.03

면역에 관하여

요즘 '안아키'라는 게 유행한다고 하는데, 마침 그 문제와 직접 연결된 책이 보여서 손에 들었다. 율라 비스의 (김명남 옮김. 열린책들)다. 재미있었다. 아이를 낳은 엄마가 몸에 대해 생각하고 면역과 백신과 사회에 대해 이것저것 뒤지고 공부하며 생각한 것들을 쭉 풀어놓은 일종의 에세이다. 백신을 접종하지 않겠다고 하는 사람들이 갖고 있는 거부감의 근원과 역사를 살피고, 이런 현상이 현대 사회에 던지는 함의를 짚어본다. 백신을 거부할 과학적 근거가 없음에도 왜 사람들은 거부하는가. '백신 뱀파이어'라는 제목의 1881년 전단은 백신 접종원들이 '순수한 아기'에게 가하는 '광범위한 오염'을 경고했다. 백신 접종 행위에 뭔가 성적인 면이 있을 거라는 두려움을 부추겼고, 그 불안은 팔에서 팔로 전달하는 백신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