딸기네 책방 866

프랜시스 후쿠야마, '역사의 종말'

역사의 종말 프랜시스 후쿠야마 (지은이) | 한마음사 | 1997-04-01 읽은 지 한달이 넘도록 미처 정리를 못했다. 책 읽으면서 이런저런 생각이 들었고 읽고 나서 며칠 정도는 머리 속에 잔상이 남았는데 그걸 제대로 곱씹지를 못하고 넘겨버렸더니 기억 저편으로 잘도 사라져버렸다. 그다지 감동적인 책은 아니었다고 봐야겠다. 너무 유명한 책이고 너무 유명한 제목인 까닭에, 독자로서 뭔가 해석을 붙이기도 뭣하다. 지금과는 다른 용어들(예를 들면 ‘자유민주주의’라든가)이 쓰이고 있어서, 사실 따지고 보면 그리 오래된 책이 아닌데도 낡은 듯한 느낌이 든다. 현실사회주의가 망한 뒤 20년이 아직 안 되었는데 그 사이의 변화는 너무나 빨라서 어느새 어떤 종류의 개념어들은 역사의 유물처럼 느껴지게 된 모양이다. 앞부..

딸기네 책방 2006.12.05

칼 세이건의 '콘택트' 1,2

콘택트 1, 2 Contact칼 세이건 (지은이) | 이상원 (옮긴이) | 사이언스북스 | 2001-12-10 이상하게도 칼 세이건의 책을 읽어보지 못했다. ‘코스모스’는 책꽂이에 잠자고 있다. 몇해전 ‘에필로그’ 읽고 몹시 감동하면서 고(故) 세이건 박사님을 존경하리라 했는데 책 인연이 없었다. ‘콘택트’도 언제적부터 책꽂이에 꽂혀 있는 것을, 용기와 에너지를 모아 간신히 손댔다. 멋지다... 너무 재미있다... 과학 얘기이면서 철학적이고, ‘앰버연대기’ 만큼은 아니지만 거기 버금가게 멋있다. 종교와 과학이 팽팽하게 선을 긋는데, 그 과정이 심지어 아름답기까지 하다. 상상과 과학이 아슬아슬하게 만나는데, 그것 또한 그렇게 멋질 수가 없다. 뉴멕시코의 사막에서 별들이 보내는 소리에 귀기울여오던 여성 과학..

나는 하루키를 좋아해

방금전 어느 선배가, 무라카미 하루키가 일본어로 번역한 위대한 개츠비가 대박났다는 얘기를 갖고 왔다. 그래서 찾아보니깐 하루키가 ‘노르웨이의 숲’(나에겐 ‘상실의 시대’ 버전이지만)에서 그 책을 언급했다고 한다. 독서카드를 넘겨보니 올해 내 첫 책은 하루키, ‘회전목마의 데드히트’였다. 난 하루키를 아주아주 좋아한다. 상실의 시대는 오히려 좀 나중에 읽은 것이고, 처음엔 ‘세계의 끝과 하드보일드 원더랜드’(내가 본 건 ‘일각수의 꿈’ 버전), 그 다음엔 ‘양을 둘러싼 모험’ 읽었다. 그렇게 글을 쓸 수 있는 사람이 있다는게 놀라웠고, 재미있었고, 흥분했고, 열광했고, 하루키 이름자가 붙으면 미친듯 달려들어 읽었고, 그렇게 몇권의 소설을 더 읽은 뒤로 시들해졌다. 스푸트니크의 연인, 국경의 남쪽 태양의 서..

딸기네 책방 2006.11.24

아체는 너무 오래 울고 있다

아체는 너무 오래 울고 있다박노해 (지은이) | 느린걸음 | 2005-10-25 많이 울었다. 사진도, 글도, 마음에 못을 박는다. 어째서 이렇게 세상엔 고통을 당하는 사람이 많은 걸까. 얼마전 아체 사람들이 처음으로 투표를 했고, 자기네들 대표를 뽑았다. 하지만 그런다고 아픔이 가실리야. 세상은 아체의 석유만 보고, 한꺼풀 벗겨진 쓰나미의 상처를 본다. 그걸 더 헤짚어 점령당한 이들의 깊은 아픔을 보게 되니 겹겹으로 슬프다. 죄악없는 국가란 없는 것일까. 나눔문화에 찾아가서 박선생님이 직접 찍어온 사진들로 만든 슬라이드 필름을 보았는데, 책으로 이미 한차례 보았음에도 불구하고 다시 눈물이 나와 혼났다. 이스라엘에 침공당했던 레바논 난민촌과 터키, 시리아 일대 쿠르드족 찾아간 이야기도 곧 이렇게 글과 사..

딸기네 책방 2006.11.15

아내가 결혼했다- 나를 위한 소설

아내가 결혼했다박현욱 (지은이) | 문이당 | 2006-03-15 이건 딱 나를 위한 책이네, 이러면서 증말 잼나게 봤다. 이 소설 이야기는 진작에 들었고, 심지어 어떤 이는 “딱 너를 위한 책”이라며 내게 권해주기도 했었다. 문학성 작품성 기타등등 무슨무슨 평가기준 막론하고, 암튼 이 책이 적어도 어떤 부분에선 ‘나를 위한 책’인 것은 분명하다. 축구 말이다. 이 책에는 나처럼 한때 유럽축구에 버닝했던, 혹은 지금도 열광하고 있는 사람들을 위한 서비스가 깔려있다. 피오렌티나를 상대로 결승 골을 넣고 울음을 터뜨렸다는 경애하는 바티님의 전설에 감동하지 않을 자 누가 있으리. 어떤 이는 조지 오웰의 카탈로니아 찬가 때문에 바르셀로나를 그린다지만 어떤 사람들은 그보다 FC 바르셀로나 때문에 바르셀로나를 동경..

딸기네 책방 2006.11.14

오류의 시대- 진심은 마음을 움직인다

오류의 시대 - 테러와의 전쟁이 남긴 것들 조지 소로스 (지은이) | 이진명 외 (옮긴이) | 네모북스 | 2006-10-16 현실을 예측하고 행동하는 순간, 우리의 행동은 현실에 영향을 미쳐 예측을 빗나가게 만들어버린다. 빗나가는 정도가 클 때도 있고 거의 미미할 때도 있겠지만, 이 책의 저자 소로스는 그것을 ‘재귀성’이라고 부르면서 법칙의 수준으로 승화시키려 애쓰고 있다. 따지고 보면 별로 특별한 개념은 아니지만, 어, 이건 양자역학이랑 똑같다, 관측자가 관측 내용에 영향을 미치는-- 아무튼 그래서 현실은 예측과는 달라지는데, 모두가 한 가지를 예측하다보면 거품이 끼게 된다. 저기다 투자하면 돈 번단다! 몰려가자! 그런데 모두가 몰려가다 보면 거품이 끼고, 하나하나의 행위들이 모여 예측과 다른 결과(..

딸기네 책방 2006.11.06

인간은 기후를 지배할 수 있을까? - 당신이 지금 창밖을 보고 있다면

인간은 기후를 지배할 수 있을까? 윌리엄 K. 스티븐스 (지은이) | 오재호 (옮긴이) | 지성사 | 2005-02-25 “당신이 지금 창밖을 보고 있다면 당신이 본 날씨의 일정 부분은 당신이 만든 것이고, 앞으로 50년을 더 내다볼 수 있다면 그만큼 더 많은 책임을 져야 할 것이다.” (356쪽) 미국의 기후전문가 토머스 리처드 칼이라는 사람은 어릴 적부터 날씨를 관찰하고 기록하는 걸 좋아했다고 한다. 참 특이한 취향이다 싶지만, 그 어린아이는 자라서 미국 기후연구 센터에서 일을 시작했고, 기후변화에 대해 누구보다 잘 아는 전문가가 됐다. 칼 박사가 연구를 시작했을 때만 해도 기후변화가 지구온난화라는 것과 관계가 있다는 것은 물론이고, 지구온난화라는 것이 과연 존재하는 현상인지에 대해서도 논란이 많았었..

딸기네 책방 2006.11.03

[스크랩] 사라져가는 목소리들

사라져 가는 목소리들 다니엘 네틀 | 수잔 로메인 (지은이) | 김정화 (옮긴이) | 이제이북스 알래스카 코르도바 지역의 마지막 에야크 인디언인 마리 스미스는 유일한 순혈 에야크인이자 에야크어를 사용하는 유일한 사람이 되었을 때의 느낌을 이렇게 설명했다. “그게 왜 나인지, 그리고 왜 내가 그런 사람이 된 건지 나는 몰라요. 분명히 말하지만, 마음이 아파요. 정말 마음이 아파요…” (35쪽) 테비크 에센크, 붉은천둥구름, 로신다 놀라스케스, 로라 소머설, 네드 매드럴, 아서 베넷은 서로 수천 킬로미터씩 떨어진 곳에서 현저하게 다른 문화적·경제적 환경에서 살다가 죽었다. 그들의 사회를 파괴하고, 그들을 죽어가는 언어의 마지막 대변자로 만든 정확한 요인들은 상당히 다르지만, 그들의 이야기는 여러 면에서 놀랄..

딸기네 책방 2006.11.03

생명의 미래- 칭찬도 시니컬하게

The Future Of Life. Edward O. Wilson. VINTAGE 여름휴가 때 폼 잡으려고 들고 갔다가 당연히 다 못 읽고, 출퇴근길 지하철 안에서 야금야금, 꽤 재미있게, 끝을 냈다. 한번 훑어보긴 했지만 워낙 단어가 딸려서;; 다 이해했다고 말은 못하겠다. 책은 생물다양성을 보호하자는 내용인데 멸종 위기 동식물 구체적인 케이스들과 보존운동을 꼼꼼히 설명하고 있다. ‘에드워드 윌슨’ 이라는 이름이 주는 모종의 관념이 있다. 이 사람에 대한 글 토막들은 여러번 봤고(교양 수준의 생물학 책 중에서 윌슨 이름 한번 나오지 않는 책을 찾기는 힘들다) 윌슨의 저작을 직접 읽은 것은 ‘통섭’ 이래 이번이 겨우 두 번째다. 그러니 내가 윌슨에 대해 안다 모른다 말할 게재는 전혀 아닙니다만..,, 이..

[스크랩] 누구누구가 뽑은 '쵝오 웃긴 시'

젊은 동리 술이 거나해지자 젊은 동리가 젊은 미당 앞에서 어젯밤에 잠 아니와서 지었다는 자작시 한 수를 낭송했다. "벙어리도 꽃이 피면 우는 것을." 미당이 들고 있던 술잔을 탁 내려놓고 무릎을 치며 탄복해 마지않았다. "벙어리도 꽃이 피면 우는 것을......이라. 내 이제야말로 자네를 시인으로 인정컸 네." 그러자 동리가 그 대춧빛 얼굴을 잔뜩 찡그리며 대꾸했다. "아이다 이 사람아. 벙어리도 꼬집히면 우는 것을......이다." 미당이 나머지 한 손으로 술상을 꽝 내리치면서 소리쳤다. "됐네 이 사람아!" 이시영, 아르갈의 향기 중에서

딸기네 책방 2006.11.02